[우분투 삽질기] vsftp - umask 설정하기... 파일 업로드시 권한 등..
2009. 5. 26. 12:42ㆍ개발/리눅스
반응형
아~~~~~ 서버구축은 삽질의 연속이었습니다ㅠ
그 중에서 umask 란 놈은 저를 상당히 괴롭혔답니다~ 알고 보니 쉬운데~~ㅠㅠ
리눅스 서버환경 구축할때 ftp를 위해 vsftp를 많이 사용합니다.
vsftp를 설치하고 anonymous_enable=NO 등 기본 설정까지는 쉬웠습니다.
그런데... 막상 계정에 접속하고.. 웹파일들을 생성하고 난 후..
웹브라우저 상에서 확인해보니 제대로 안나오더군요~;; not found 가 나왔던가.. 기억이~;;
어쨋든 이러한 현상을 열심히 구글링도 하고 이래저래 몇시간을 찾아다녔더니
umask란 것을 알게 되었고.. vsftp 의 경우 기본이 077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답니다. 아놔~;;
웹파일은 기본 권한이 644가 되어야 웹에서 확인 가능하다는 것인디~;; 077 로 되어 있으면
* 디렉토리 : 777 - 077 = 700
* 웹파일 : 666 - 066 = 600
위에처럼 권한이 설정되기 때문에 웹에서 확인 불가능했던거였습니다. 저 계산법이 맞는진 잘~;;;
저도 저기까진 조금 쉽게 찾아서 설정을 해놨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파일이 업로드 되었을 때 파일 권한이 600으로(아마..) 설정이 되는 것이었답니다.
아~~~~~ㅠ 다시 검색을 열심히 한 끝에.. 알아보니
파일 업로드 지정옵션이 있더군요.. 물론 vsftp 설정에서..
어찌되었듯~;; 삽질은 끝났고~ㅋ
설정하는 방법은(우분투입니다...)
-----------------------------------------------------------------------------------------------
sudo vim /etc/vsftpd.conf
#local_umask=022 에서 주석 제거한 후 그 아래부분에
file_open_mode=0644 (파일 업로드 시 권한을 설정하는 부분)
-----------------------------------------------------------------------------------------------
다음번에는(시간나면;;) 디렉토리 리스팅(웹상에서 하위디렉토리의 파일들이 보이는것?)에 대해
포스팅을 할 예정입니다~ ㅋ
그 중에서 umask 란 놈은 저를 상당히 괴롭혔답니다~ 알고 보니 쉬운데~~ㅠㅠ
리눅스 서버환경 구축할때 ftp를 위해 vsftp를 많이 사용합니다.
vsftp를 설치하고 anonymous_enable=NO 등 기본 설정까지는 쉬웠습니다.
그런데... 막상 계정에 접속하고.. 웹파일들을 생성하고 난 후..
웹브라우저 상에서 확인해보니 제대로 안나오더군요~;; not found 가 나왔던가.. 기억이~;;
어쨋든 이러한 현상을 열심히 구글링도 하고 이래저래 몇시간을 찾아다녔더니
umask란 것을 알게 되었고.. vsftp 의 경우 기본이 077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답니다. 아놔~;;
웹파일은 기본 권한이 644가 되어야 웹에서 확인 가능하다는 것인디~;; 077 로 되어 있으면
* 디렉토리 : 777 - 077 = 700
* 웹파일 : 666 - 066 = 600
위에처럼 권한이 설정되기 때문에 웹에서 확인 불가능했던거였습니다. 저 계산법이 맞는진 잘~;;;
저도 저기까진 조금 쉽게 찾아서 설정을 해놨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파일이 업로드 되었을 때 파일 권한이 600으로(아마..) 설정이 되는 것이었답니다.
아~~~~~ㅠ 다시 검색을 열심히 한 끝에.. 알아보니
파일 업로드 지정옵션이 있더군요.. 물론 vsftp 설정에서..
어찌되었듯~;; 삽질은 끝났고~ㅋ
설정하는 방법은(우분투입니다...)
-----------------------------------------------------------------------------------------------
sudo vim /etc/vsftpd.conf
#local_umask=022 에서 주석 제거한 후 그 아래부분에
file_open_mode=0644 (파일 업로드 시 권한을 설정하는 부분)
-----------------------------------------------------------------------------------------------
다음번에는(시간나면;;) 디렉토리 리스팅(웹상에서 하위디렉토리의 파일들이 보이는것?)에 대해
포스팅을 할 예정입니다~ ㅋ
반응형
'개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페이지 계정&데이타베이스 백업+복구하기~! (0) | 2010.03.13 |
---|---|
[서버보안] SYN Flooding(신플루딩) 공격 막기 (3) | 2010.02.23 |
리눅스 시스템 정보 및 상태 알아보기 (2) | 2010.02.20 |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간략설명~! (4) | 2009.07.22 |
[우분투삽질기] 서버구축.. 디렉토리 리스팅 막기 (0) | 200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