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간략설명~!
2009. 7. 22. 14:11ㆍ개발/리눅스
반응형
요즘 윈도우에 대응하기 위한 신종 OS 발표로(티맥스, 구글OS)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마당에
왠 리눅스냐 하실수도 있겠지만~;;
공부하는 입장에서 리눅스 배포판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서버구축 공부를 위해 얼마전에 구입한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실무(김태용 저)" 을 참고하였음을 먼저 알려드리구요..
리눅스가 무엇이고 누가 만들었고 이런 등등은 안쓰고..
배포판에 대해서만 간략히 적도록 하겠습니다.
1. MMC Interim 리눅스
최초 리눅스 배포판으로 1992년에 배포되었습니다.
영국 맨체스터대학의 맨체스터 컴퓨팅센터에서 만들었으며, 리눅스 커널과 그 외 프로그램을 포함 한 것으로 초기버전 이후 6~7장의 플로피디스크(지금은 구경하기도 힘든...)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었으며, X윈도우가 포함되지 않은 미니배포판이었습니다.
2. SLS 리눅스 - Soft landing Software 라는 회사에서 발표한 배포판
3. 슬랙웨어 리눅스
가장 먼저 대중화된 최초의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패트릭볼거딩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1993년에 첫 릴리즈를 공개하였습니다.
리눅스 초기시절에는 사용하기 쉽고 안정된 리눅스 운영체제로 가장 많은 인기를 누렸지만.. 설치과정의 어려움과 우리의 빨간모자(레드햇)가 나오면서 점점 멀어져간 배포판입니다.
4. Yggdrasil 리눅스
최초의 시디롬 배포판..(뭐라 읽어야 되는건지~;;) 1994년 무렵이며 이후부터의 모든 배포판들이 시디롬 기반으로 배포되기 시작하였습니다.
5. 레드햇리눅스 - http://www.kr.redhat.com/
1994년 10월 마크유잉(Marc Ewing)이 릴리즈하였으며, 배포판의 이름을 자신의 할아버지가 물려준 낡고 빨간색 모자를 늘 쓰고 다녀서 빨간모자(레드햇)이라고 지었답니다. 그 다음 해 밥영(Bob Young)이 유잉의 배포판 비지니스를 인수해 자신이 설립한 ACC법인과 합병한 후, RedHat Linux Software로 회사이름을 변경하고, 점점 사업영역을 확장해가며 계속적으로 배포판을 발전시키게 됩니다.
사용자 편의에 중점을 두고 개발된 레드햇은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배포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래픽 설치환경인 아나콘다로 설치를 쉽게 할 수 있게 하였고, RPM이라는 새로운 패키지 매니저를 개발해 초보자들도 쉽게 리눅스를 다룰수 있게 하였습니다.(ㅠㅠ 첨에 배울때는 뭐가 뭔지 모르고.. 너무 어려웠는데.. 그게 쉬운거라니~ㅠ)
6. 데비안 리눅스 - http://www.debian.org/
7. 수세리눅스
8. 맨드리바(맨드레이크 리눅스)
9. 아~~~~~~~~ 삽질의 고난을 알게 해준 젠투 리눅스
젠투리눅스는 이름 그대로 빠르고 융통성을 지녔답니다. 다른 배포판들과는 달리 그동안 인정받아 온 BSD 포트를 기초로 하고, 파이썬으로 개발된 포티지(Portage)라는 진보된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합니다.
자신의 컴퓨터에 최적화되고 아주 빠르고 가벼운 OS를 원하신다면.. 한번 설치해보시기 바랍니다. 바로 삽질 시작~;; 저는 포기한지 오래입니다~ㅠ
10. 우분투 리눅스
우분투는 마크 셔틀워스가 생각해낸 것으로 데비안에서 파생되었으며, 셔틀워스가 1000만달러를 기부해서 만들어진 우분투 재단에서 마련한 기금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분투라는 이름은 "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둔 인간애" 를 의미합니다. 2007년에는 델컴퓨터와 협력하여 델에서 우분투를 탑재한 데스크탑과 노트북을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을 정도로 리눅스 데스크탑 분야에서 독보적인 행보를 하고 있습니다. 쿠분투, 주분투, 이분투 등 부프로젝트들도 진행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제가 사용해본 배포판은 몇가지 안되지만.. 데스크탑용으로는 최고라고 말하고 싶네요~^ㅇ^
11. CentOS 리눅스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는 위의 11가지 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한컴리눅스, 안녕리눅스, 수리눅스 등등 다양한 배포판들이 존재한답니다.
제 개인적으로.. 데스크탑을 위한 리눅스 배포판을 고르라 한다면 "우분투"를, 서버용이라면 "CentOS"를 추천합니다.
물론 어떤 배포판이든지 자신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한다면 그게 제일 좋은 것이겠지만요~^^
반응형
'개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페이지 계정&데이타베이스 백업+복구하기~! (0) | 2010.03.13 |
---|---|
[서버보안] SYN Flooding(신플루딩) 공격 막기 (3) | 2010.02.23 |
리눅스 시스템 정보 및 상태 알아보기 (2) | 2010.02.20 |
[우분투삽질기] 서버구축.. 디렉토리 리스팅 막기 (0) | 2009.05.29 |
[우분투 삽질기] vsftp - umask 설정하기... 파일 업로드시 권한 등.. (4) | 200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