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37)
-
홈페이지 계정&데이타베이스 백업+복구하기~!
홈페이지 계정이랑 데이타베이스 백업&복구하기입니다. 먼저 PuTTY로 ssh에 접속하신 다음 계정관리자로 로그인을 합니다. 1. 백업하기 * tar 명령어 : 파일을 압축하고 해제하는 명령어 옵션 -z : 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 -x : 압축된 파일로부터 압축해제 -c : 새 저장 파일을 만든다. -v : 처리중인 파일을 자세하게 보여준다. -f : 저장파일 혹은 장치파일 F에 저장한다. * tar(tape archiver)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쓸곳을 파일이 아니라 장치로 생각하기 때문에 파일에 쓰려면 f옵션을 사용해야 된다고 합니다. 1-1. 파일 백업 tar cvfz 생성파일명.tar.gz 백업할디렉토리명 - 백업할디렉토리를 gzip을 이용하여 생성파일명.tar.gz라는 이름으로 압축한다. *..
2010.03.13 -
MySQL의 기초 - 데이터 타입
"공부도 할 겸 책펴놓고 쓰는 글입니다." MySQL은 크게 "숫자타입, 날짜와 시간타입, 스트링타입" 세종류의 데이터 타입을 제공합니다. 1. 숫자 데이터 타입 1) INT 일반적인 정수로 부호를 가질 수 있음. 부호가 있을 경우(signed) -2147483648 ~ 2147483647 까지를 표현합니다. 부호가 없을 경우(unsigned) 0 ~ 4294967295까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너비는 11자리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2) TINYINT 아주 작은 정수로 부호를 가질 수 있음. 부호가 있을 경우 -128~127 까지를 표현합니다. 부호가 없을 경우 0~255까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너비는 4자리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3) SMALLINT 비교적 작은 정수(small in..
2010.03.10 -
[서버보안] SYN Flooding(신플루딩) 공격 막기
1. SYN Flooding 공격이란? 신플루딩공격이란 TCP세션이 연결될 때의 취약성을 이용한 서버공격이다. 근데 왜 신종플루라는 단어가 자꾸 떠오르는것인지 -_-;; 먼저 TCP의 기본적인 연결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A(소스서버)가 B(목적지서버)에게 접속을 요청하는 SYN패킷을 보낸다. 2. B는 요청을 수락한다는 SYN과 ACK패킷을 A에게 보낸다. 3. A가 B에게 ACK를 보내면 연결이 이루어지고 본격적이 데이터교환이 이루어진다. 위의 2번단계에서 목적지서버(B)는 소스서버(A)가 ACK패킷을 보내주기를 계속적으로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후 요청이 오지 않으면 백로그큐(Backlog Queue)가 허용하는 공간에 연결정보(로그)를 보관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요청되..
2010.02.23 -
리눅스 시스템 정보 및 상태 알아보기
리눅스에서 시스템의 정보를 알아보려면 /proc 디렉토리를 찾아보면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playi@playi:/proc$ ls 1 13075 2412 4595 69 acpi kallsyms scsi 10 13395 2413 4597 7 buddyinfo kcore self 11 13396 2414 4615 71 bus key-users slabinfo 12 1360 245 4639 72 cgroups kmsg stat 1232 1369 246 4663 7326 cmdline kpagecount swaps 1233 1373 247 4817 7327 cpuinfo kpageflags sys 1234 1394 248 4838 7328 crypto latency_stats sysrq-trigger 1235 ..
2010.02.20 -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간략설명~!
요즘 윈도우에 대응하기 위한 신종 OS 발표로(티맥스, 구글OS)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마당에 왠 리눅스냐 하실수도 있겠지만~;; 공부하는 입장에서 리눅스 배포판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서버구축 공부를 위해 얼마전에 구입한 "CentOS 리눅스 구축관리실무(김태용 저)" 을 참고하였음을 먼저 알려드리구요.. 리눅스가 무엇이고 누가 만들었고 이런 등등은 안쓰고.. 배포판에 대해서만 간략히 적도록 하겠습니다. 1. MMC Interim 리눅스 최초 리눅스 배포판으로 1992년에 배포되었습니다. 영국 맨체스터대학의 맨체스터 컴퓨팅센터에서 만들었으며, 리눅스 커널과 그 외 프로그램을 포함 한 것으로 초기버전 이후 6~7장의 플로피디스크(지금은 구경하기도 힘든...)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었으며..
2009.07.22 -
[우분투삽질기] 서버구축.. 디렉토리 리스팅 막기
우분투 서버구축 삽질기.. 이번에는 디렉토리 리스팅 막기입니다. 이 부분은 umask 설정방법 검색할때보단 좀 더 쉽게(말이 쉽지만..) 또 더 빨리 찾게 되었답니다~;; 처음부터 디렉토리 리스팅 막기라는 검색어를 알았다면 엄청 쉽게 찾을 수 있었겠지만.. 리눅스 초짜이다 보니 막무가내로 검색을 하다 보니 꽤 어렵군요~ㅋ 제가 검색한 단어들은.. 리눅스 서버 웹 디렉토리, 서버 하위디렉토리 뭐 등등 이런 단어들이었는데 검색 결과는 리눅스 디렉토리에 대한 내용들이 주르륵 나오더군요~;; 각설하고 웹상에서 하위디렉토리의 주소를 주소창에 쳐서 바로 들어올 경우에 하위디렉토리의 목록이 보일때는 아래처럼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ㅎ 1. /etc/apache2/mods-enabled/userdir.conf 파일을..
2009.05.29